리프트업과 바디업..
페이지 정보작성자 강남욱 작성일00-07-21 11:27 조회1,542회 댓글0건 |
본문
안녕하세요+ 삽질입니다.
기억해주세용...
타야만 바꿔끼고 다니면서. 아무래도 뽀대가 안나는 나의 애마를 보면서 슬슬 모빌 업을 할려고 이래저래 수소문을 많이 하고 다니는데요..
드디어 제가 돌아다니면서 얻은 정보를 종합하여
제 모빌의 나아갈 방향을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일반적으로 리프트업을 먼저하시는 게 가장 일반적인데..
뒷스프링과 토션바. 그리고 쏠림방지를 위한 쇼바교체죠.
그런데 제가 여러 모빌을 시승해보고, 경제적으로 합리적으로 가장 좋은 방법이 뭘까..(워낙에 거지입니다.. 제가) 생각해보니.
리프트업보다 바디업을 먼저 하는 겁니다.
(32"나 33"을 끼울 계획이라면요..)
대체로 부싱을 끼우실때 앞쪽은 6정도로 그리고 뒤쪽은 2~3Cm정도 짧게하여 앞쪽에 토션바의 무리한 상승을 막고 뒤쪽은 긴스프링보다는
강성스프링에 엘로폭스같은 보조스프링을 끼우는 것이 가장 안정적일것 같습니다. 그러면 수평 맞추기가 쉬워지니까요. 밴형은 뒤쪽 스프링이 승용보다
강성이라고 들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따로 강성스프링 교체없이 보조스프링만 사용할려고 합니다.
어떤분은 전체를 5정도..(그러면 합이 10Cm가 되죠..)로 돌려버리면. 긴스프링도/토션바 상승도 필요 없다고 하시는데
조금더 생각해볼 문제인것 같구요..
부싱제작에 6만원정도.. 그리고 보조스프링... 공임..
일반적인 리프트업에 비해 안정적이고 그다지 비용이 많이 소모되지 않습니다.
부싱 장착법에도 여러가지 방법이 있는데
그건 조금더 연구를 해봐야겠네요..
일반적인 방법으로 하면 세게 쳐올라갈경우 밀리는 경우가 생기거든요.
17mm 짜리 차량용 볼트로 장착하는 방법에 대해 어제 강의를 좀 들었는데, 자세히 알고나서 다시 글 올리겠습니다.
그리고 뒤쪽은 순정 가스쇼바를 그대로두고
앞쪽만 란쵸5000정도로 교체할 예정입니다.
앞쪽 쏠림만 잡아주면 뒤쪽은 그렇게 문제가 되지 않을것 같습니다.
저도 초짜인지라 설명드리는데도 빼먹은게 많은것 같네요..
좋은 하루되세요~!!
기억해주세용...
타야만 바꿔끼고 다니면서. 아무래도 뽀대가 안나는 나의 애마를 보면서 슬슬 모빌 업을 할려고 이래저래 수소문을 많이 하고 다니는데요..
드디어 제가 돌아다니면서 얻은 정보를 종합하여
제 모빌의 나아갈 방향을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일반적으로 리프트업을 먼저하시는 게 가장 일반적인데..
뒷스프링과 토션바. 그리고 쏠림방지를 위한 쇼바교체죠.
그런데 제가 여러 모빌을 시승해보고, 경제적으로 합리적으로 가장 좋은 방법이 뭘까..(워낙에 거지입니다.. 제가) 생각해보니.
리프트업보다 바디업을 먼저 하는 겁니다.
(32"나 33"을 끼울 계획이라면요..)
대체로 부싱을 끼우실때 앞쪽은 6정도로 그리고 뒤쪽은 2~3Cm정도 짧게하여 앞쪽에 토션바의 무리한 상승을 막고 뒤쪽은 긴스프링보다는
강성스프링에 엘로폭스같은 보조스프링을 끼우는 것이 가장 안정적일것 같습니다. 그러면 수평 맞추기가 쉬워지니까요. 밴형은 뒤쪽 스프링이 승용보다
강성이라고 들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따로 강성스프링 교체없이 보조스프링만 사용할려고 합니다.
어떤분은 전체를 5정도..(그러면 합이 10Cm가 되죠..)로 돌려버리면. 긴스프링도/토션바 상승도 필요 없다고 하시는데
조금더 생각해볼 문제인것 같구요..
부싱제작에 6만원정도.. 그리고 보조스프링... 공임..
일반적인 리프트업에 비해 안정적이고 그다지 비용이 많이 소모되지 않습니다.
부싱 장착법에도 여러가지 방법이 있는데
그건 조금더 연구를 해봐야겠네요..
일반적인 방법으로 하면 세게 쳐올라갈경우 밀리는 경우가 생기거든요.
17mm 짜리 차량용 볼트로 장착하는 방법에 대해 어제 강의를 좀 들었는데, 자세히 알고나서 다시 글 올리겠습니다.
그리고 뒤쪽은 순정 가스쇼바를 그대로두고
앞쪽만 란쵸5000정도로 교체할 예정입니다.
앞쪽 쏠림만 잡아주면 뒤쪽은 그렇게 문제가 되지 않을것 같습니다.
저도 초짜인지라 설명드리는데도 빼먹은게 많은것 같네요..
좋은 하루되세요~!!